할아버지가 할머니를 얕잡아서, 혹은 정겹게 부르는 말입니다. 또 사람들이 나이많은 여성을 비하의 뜻을 담아, 얕잡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어찌 들으면 정겹고, 어찌 들으면 몹시 기분 상할 수도 있는 이 할망구라는 단어는 어떻게 하여 생겨났을까요? 예순 살·일흔 살 하지 않고 육순(六旬) 칠순(七旬), 또는 60세·70세 등 숫자 뒤에 '순(旬)'이나 '세(歲)'를 붙여 높이 일렀습니다. 또 환갑(還甲)이나 칠순 잔치 등과 같은 수연(壽宴)을 경축하기 위해 부조금 봉투나 단자 등을 쓸 때에도 별칭을 썼는데, ‘망구’ 역시 이러한 별칭 가운데 하나입니다. '아흔을 바라보는 나이'라는 뜻으로 쓰이는데, 아흔 살까지 살기를 바란다는 염원의 뜻을 담고 있는 말이지요. 같은 의미로 '망칠(望七)'은 61세, '망팔(望八)'은 71세, '망백(望百)'은 91세를 이르는 말입니다. 그런데, 예전엔 평균 수명이 낮아 81세까지 사는 어른이 많지 않았으며 더구나 남자 어르신들은 더욱 적었습니다. 자연 ‘망구’ 대열에 살아 남은 분들은 대부분 할머니들이었고 그러다 보니 망구하면 나이 많은 여성을 가리키는 말처럼 되었고, 할머니들이 대부분인 점에서 할망구가 되었다고 합니다. 만수무강(萬壽無疆)의 뜻이 담긴 ‘할망구’가 제자리를 찾아 정중하면서도 정겹게 들릴 날이 있을는지? 궁금합니다.
“할망구!”
우리 전통 유교사회에서는 웃어른의 연세를 이를 때
‘망구(望九)'는 사람 나이 81세, 곧 여든한 살의 별칭입니다.
'할망구'는 여기에서 파생된 말입니다.
“할망구!”
'말·글갈무리 > 알고나 쓰자고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분당선, 옥에 티! (0) | 2011.10.05 |
---|---|
'도토리 키재기'와 '자웅을 겨루다' (0) | 2011.10.02 |
악성코드, 물럿거라! (0) | 2010.08.29 |
오버하다'? '중뿔나다'! (0) | 2010.04.25 |
'야밤도주' → '야반도주' (0) | 2009.09.11 |